3월의 네 번째 화요일
낮에는 미세먼지가 괜찮은가 싶더니
밤이 되니 100을 넘겼다.
이런 날은 왜인지 호흡이 어려워지고
공기청정기의 옆에서 있어도 불안하다.
정부는 미세먼지 대응책을 내놨지만
기대에 못 미친다.
나는 기계분야에 종사했고
각종 기술에 대해
관심이 많은 공학도로서
정치적인 부분을 떠나서
나의 생각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의 원전 정책은 방폐장(방사능 폐기물 처리장) 건설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본다.
‘방폐장’ 없이 원자력 에너지는 ‘클린 에너지’가 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클린 에너지’가 아니란 것은 EU에 물건을 팔 때 불리해지고 이것은 OECD 회원국이라면 같은 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란 이야기이다.
미국도 방폐장 부지 선정을 실패한 이력이 있다.
이런 문제를 대충 처리해선 안된다고 본다.
이건 ‘온칼로’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왜 그런지 알 것이다.
대기 오염과 오폐수 정책은 한심하다.
참고로 자동화와 팩토리 설계까지 했던 관점에서 화력 발전소/ 소각장/ 오폐수를 배출하는 업체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팩트를 말하자면
저들이 연기로 배출되는 오염 물질과 폐수를 내보내는 이유는 그것을 걸러내는 여과 장치를 설치/ 유지하는데 ‘비용’이 들기에 안 하는 것이다.
공장 밖으로 연기가 나온다고? 연기 나오는 곳을 큰 창고를 지어서 집진 시설을 지으면 되지만 돈과 유지가 힘드니 ‘윤리’를 어기는 것이다.
오래돼서 안되고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은 헛소리다. 돈을 더 들여야 한다는 소리지 안 되는 것은 없다.
요즘 시대에 기계적으로 불가능한 게 있을 것 같은가?
그 ‘삼중수소’도 돈만 있다면 정화가 되는 게 요즘시대이다.
화력발전소와 소각장에 집진시설 및 필터 설치비와 유지/관리 비용이 아까워서 발악하는 기업 운영자를 철저하게 페널티와 지원책을 활용해 정화가 되게 만들어야 하며, 이것은 단속과 정책의 문제다.
오염물질이 많이 나온다면 커버를 씌우고 오염 물질을 지하에 시설을 지어 보내서 정화를 하면 대다수 걸러진다.
물론, 생산 단가의 문제와 소비자에게 피해가 온다는 논리를 펼치겠지만
지금 미래세대를 생각하면 지금부터 해결을 해야 하는 문제다.
한·중 권역별 대기오염 저감정책 비교 및 협력방안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이동오염원과 고정오염원의 대기오염 저감 정책은 중국보다 뒤처져 있다고 한다.
앞으로 10년에서 15년 이대로 온도가 오르면 지구는 복구가 불가능한
대기 시스템의 파괴가 발생한다고 한다.
결국, 돌고 돌아 ‘윤리’다.
있는 자일 수록 ‘윤리 의식’이 필요하다.
영풍 그룹의 석포 제련소 하나에 하류의 주민과 생태계는 어마어마한 피해를 입고 있고, 이것 역시 진행형이다.
세상이 옳은 방향으로 갔으면 해서 적어본다.
'미누의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리를 본 개인적인 생각, 하루 (18) | 2023.03.30 |
---|---|
브런치의 이름이 바뀌었네요. (38) | 2023.03.29 |
흐리게 흐르는 하루 (30) | 2023.03.28 |
하루를 마치며.. (2) | 2023.03.27 |
루틴과 멈춤, 하루 (23)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