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경제 이야기

🏦 한은 총재의 경제 대책: 금리 동결과 경기대응완충자본 1% 부과에 파장! 💡💰

by MinouRêveur 2023. 5.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
💡 정확한 정보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는 미누입니다. ✔️
이번 포스팅은 2023년 5월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발표한 두 가지 중요한 정책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
생각보다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어 적는 것이니 지금이라도 대비하세요.🧐
지금부터 하는 이야기는 그냥 저의 의견일 뿐이니 참고만 하세요.

위로하는 사진


1️⃣ 금리 동결: 안정을 위한 선택 🔒


• 한은 총재는 우리 경제의 안정을 위해 현재의 금리 수준을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현재, 연체율과 강재 채무 이행률이 올라가는 상황에서 경제에 큰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한 신중한 선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경기대응완충자본 1% 부과: 미래를 대비한 조치 ⚠️💰


• 그러나, 한편으로는 경기대응완충자본에 1%를 부과하겠다는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

• 이는 경제가 좋은 상황에서 은행들이 더 많은 자본을 쌓아 놓도록 하여, 만약의 경제 위기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입니다. 🚀⛅
하지만, 한은은 이런 시기에 이 정책을 발표했는데요.

한은의 금리 동결 및 경기대응완충자본 1% 부과는 특히 은행 및 금융 기관, 부동산 시장, 그리고 대출이 많은 개인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1️⃣ 은행 및 금융 기관: 👩‍💼🏦


경기대응완충자본 1%의 부과는 은행들에게 더 많은 자본을 유지하도록 요구하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일부 은행들은 자본 비율을 유지하기 위해 대출 확대를 제한하거나 이자율을 올릴 수 있습니다.


2️⃣ 부동산 시장: 🏠📈


금리 동결은 대출 이자율에 영향을 주므로, 부동산 시장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현재, 금리 수준이 유지되면, 부동산 투자를 위한 대출에 대한 수요는 계속 유지될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힘들어질 것입니다.


3️⃣ 대출이 많은 개인들: 🙋‍♂️💳


금리 동결은 대출이 많은 개인에게는 더 이상의 금리 상승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은행이 경기대응완충자본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대출을 제한할 경우, 새로운 대출이나 기존 대출의 연장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어려움을 주게 되죠.

이 두 가지 결정을 주관적으로 쉽게 말하자면,

“앞으로 부동산 대출은 막을 것이며, 대출 금리도 오를 것이며 시장에 돈을 풀리는 없을 것이다.”

라는 해석이 되는데요.

대충, 3~5년 동안 부동산과 대출 시장은 힘들 것이고 정부의 완화책이 필요하겠죠.

근데, 왜 정부의 반응이 없나 궁금하긴 하네요.
일부, 언론 이야기들을 때, 딴 곳에 갔었는지. 금리 인하를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참 뭐 하는 거죠?
미국 투자를 하면서 한동안 한국 경제는 관심을 안 가지다가 이제야 보고 있지만 참 여러모로 문제예요.


마치며,

이전 정부는 ‘바젤3 협약’ 덕분에 긴축을 하는 한은이 금리를 조정하고, 대책을 내놓을 때마다 뭔가의 대책을 내서 완충을 시늉이라도 하는 보였는데요.
그 덕에 알게 모르게 목숨 건지신분들이 좀 있었죠.

이대로 둔다면 “국민의 7%~15% 정도에 해당하는 분들의 자산을 은행이 자산가격이 떨어져 강제 집행을 해버린다.”고 가정해 봤을 때,

현재, 부동산 채권과 경매 시장을 집어삼키고, 일부 경매 학원을 통해 다단계 투매나 재건축 시장까지 쥐고, 최근은 코인 채권과 시장까지 부분적으로 장악한 특정 단체들에게 아주 피 말리는 고통을 받을 텐데요.🤔

현재, 전세사기로 자살을 하는 분들도 이들과 관련이 있는 거 같은데 말이죠.
설마, 모르는 것은 아니겠죠?🧐
다들 너무 조용해서 적어 보았습니다.🤫
포털을 보니 이런 정보가 메인에 없어서 적어봤습니다.

참고로 이런 상황이면, 대출은 감당가능한 만큼만 남기시고 청산하는 게 좋을 것으로 보이네요.

여기에 선행지수를 보면 한국은 물가도 쉽게 꺾이지는 않을 것입니다.

위 모든 내용은 저의 주관적인 생각일 뿐이니 참고만 하세요.

✔️ 참고 자료

• 저자의 지식과 경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