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누입니다.
아이들에게 건강한 식습관을 기르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그리고, 아주 중요합니다.
아이의 식사는 사실,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식사에서 보이는 행동은 유아 행동과 관련된 간단한 지식으로 아이의 상태를 알 수 있는 하나의 지표이기에 정리해 봅니다.
아이에 행동은 어릴 수록 거짓이 없는데요.
그 덕분에 약간의 지식만 갖추면, 식사 중 보이는 몇 가지의 행동으로도 아이의 생활환경을 알 수 있습니다. 잘못된 식생활의 차이는 나중에 커서 아이의 성격이나 행동으로 나타나게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됩니다.
식사환경은 가족과 같이하는 아주 중요한 시간이고 아이의 자신감과 성격 형성도 식사환경에서 주로 영향을 받습니다.
식사로 알 수 있는 아이의 상태
아이의 건강 상태:
아이가 어떤 음식을 주로 섭취하고 적절한 양을 먹는지와 속도등을 확인함으로써, 아이의 영양 상태와 건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아이의 생활환경:
아이의 식사 행동과 관련하여 아이가 안정적인 생활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는지, 혹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가족 관계:
식사 시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가 가족 구성원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아이가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게 하는 방법.
이것은 생각보다 간단한데요.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건강한 방식으로 제공하고,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면 됩니다.
1. 재미있는 모양의 건강한 음식 만들기: 과일과 야채를 즐겁게 먹을 수 있도록 재미있는 모양으로 자르거나 꾸며 보세요. 이렇게 하면 아이들이 건강한 음식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2. 그림으로 이해하기 쉬운 식단표 만들기: 아이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그림으로 만든 식단표를 작성하여, 건강한 식사 선택을 도와주세요. 식단표를 만들 때, 아이와 함께 만드는 것도 좋습니다.
3. 아이들과 함께 요리하기: 함께 건강한 음식을 만들어 보세요. 뭐든 자기가 만든 음식이 가장 맛있는(?) 법입니다. 이런 과정은 건강한 음식의 재료와 만드는 과정을 배우며, 더욱 즐겁게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합니다.
4. 식사시간에 대화 나누기: 식사시간에 가족과 대화를 나누면, 아이들은 건강한 식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됩니다. 이런 환경은 아이들이 건강한 식습관을 기르는데 도움이 됩니다.
5. 꾸준한 격려와 칭찬: 아이가 좋은 선택을 했을 때, 그것을 칭찬하고 격려해 주세요. 칭찬을 받고 큰 아이와 그렇지 못한 아이의 차이는 매우 큽니다.
다음은 칭찬에 인색한 사회의 특성에 맞춰
칭찬을 하는 시기와 칭찬의 말을 예시로 아주 정석적이게 적어 봤습니다.
*. 과일을 먹었을 때: "와, 소원아! 정말 과일을 잘 먹는구나! 이렇게 계속해서 과일을 먹으면 키가 커질 거야."
*. 채소를 먹었을 때: "오늘 저녁에 소원이가 채소를 열심히 먹어서 정말 자랑스러워. 소원이가 채소를 많이 먹으면 키도 크게 되고 멋진 몸을 만들 수 있어."
*. 건강한 식단을 계획했을 때: "소원아, 이번 주 식단을 건강하게 짜 준 덕분에 가족 모두가 건강한 음식을 먹을 수 있을 것 같아. 고마워!"
*. 건강한 간식을 선택했을 때: "소원아, 건강한 간식을 골라서 너무 기뻐. 이렇게 꾸준히 건강한 간식을 먹으면 몸에 좋겠네. “
*. 아이가 운동을 했을 때: "오늘 소원이와 운동을 함께하니까 기운이 나네? 이렇게 꾸준히 함께 운동하면 우리 가족의 건강도 더 좋아질 거야."
칭찬과 격려는 아이들은 건강한 식습관을 자발적으로 계속 유지하려고 노력하겠지만 그렇지 못한 채 식사 중 스트레스나 불쾌한 경험을 한 아이는 식사 중 다음과 같은 행동을 보이게 됩니다.
*. 음식을 잘 안 먹거나, 조금씩 먹는 모습을 보임: 아이가 음식을 입에 넣지 않거나 한 숟갈 먹은 후 오랫동안 먹지 않는 행동을 합니다.
*. 자주 음식을 입에 가져가기만 하고 뱉음. : 아이가 입안에서 음식을 삼키지 않고 뱉거나, 음식을 얼굴을 찡그리며 먹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음식과 관련된 거부감 표현: 아이가 "싫어" 또는 "이건 안 먹을래"와 같은 음식 거부와 관련된 말을 자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길게 앉아있지 못함: 식사 도중 자주 의자에서 일어나거나, 주변을 둘러보며 떠들거나 걷는 등 집중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음식을 가리거나 조리법에 대해 불만을 표현: 아이가 특정 음식을 거부하거나, 요리 방식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며 다양한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보일 수 있습니다.

출처: 픽사베이
마치며…
사실, 아이들이 어릴 때, 유아원에 보내야 될지의 문제도 일부 논쟁이 있기도 합니다.
어릴 때와 유소년기의 경험은 평생의 성격을 좌우하게 되기 때문이죠.
주의력 결핍이나 과잉(ADHD)도 어릴 때 환경으로 형성되거나 심해지는 경우가 많은 게 현실입니다.
이번에는 아이의 건강과 매우 밀접한 식습관 형성에게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 외 궁금한 것이 있으면 댓글을 통해 질문을 하시면 이틀 이내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참고자료:
*. 저자의 지식과 경험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의 잘못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법!🌟 (13) | 2023.04.06 |
---|---|
아이의 고집 극복하기: 효과적인 대처 방법과 사례로 알아보는 부모의 지침 (24) | 2023.04.05 |
아기가 잠을 안자는 경우 - 원인과 해결방법 (30) | 2023.04.03 |
아이의 수면을 위한 팁. (15) | 2023.04.03 |
왜 사회가 육아를 도와야 할까? : 현실적인 이유 (0) | 2023.02.25 |
댓글